Enterprise South Korea content

INFOGRAPHIC_KR

Issue link: https://enterprise-resources.awscloud.com/i/1517185

Contents of this Issue

Navigation

Page 0 of 1

AI 역량 가속화: 아시아태평양 근로자의 미래 일자리 준비 핵심 내용: 대한민국 3 AI 활용 능력을 통해 직원의 급여 상승 및 경력상의 이점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. 경력 발전을 위한 AI 활용 능력 개발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한 직원의 세대별 비율 69% 66% 69% 77% 세대 근로자 비율 Z세대(1990년대 후반~2010년대 초반 출생) 밀레니얼 세대(1980년대 초반~1990년대 후반 출생) X세대(1960년대 중반~1980년대 초반 출생) 베이비붐 세대(1940년대 중반~1960년대 초반 출생) 생성형 AI(Generative AI)는 업무수행 방식을 변화시킬 것입니다. 2 2028년까지 대다수의 조직이 AI를 사용하게 될 것이며, AI로 인한 큰 이익을 기대하고 있습니다. 1 2024년 3월 인공지능(AI)은 조직 운영부터 업무수행 방식까지 대한민국의 인력을 재편하고 있습니다. 국내 산업 및 조직에서 AI의 도입 수준은 다양하지만, 향후 5년 동안 AI는 게임 체인저로서 주목할 만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. 향후 AI 사용 트렌드 및 업무 방향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액세스 파트너십(Access Partnership)은 아마존웹서 비스(Amazon Web Services, 이하 AWS)와 함께 대한민국 내 1,600명 이상의 근로자 와 500개 이상의 조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. 조사 결과, AI 활용 능력을 통해 직원의 생산성 향상, 급여 인상 및 커리어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효과적으로 AI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가 부족한 상황임이 확인되었습니다. 인공지능(AI)은 시지각, 음성 인식 및 언어 번역과 같은 인간의 문제 해결 및 의사 결정 능력을 모방하기 위해 컴퓨터와 기계의 힘을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. 생성형 AI(Generative AI)는 패턴 인식 및 예측을 위해 설계된 기존의 인공 지능과는 달리 대화, 이야기, 이미지, 동영상, 음악 등 새로운 아이디어와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AI의 일종입니다. 설문에 응한 대한민국 고용주의 85% 이상이 2028년까지 자신이 속한 조직 내에서 AI 기반 솔루션 및 도구를 사용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. 대부분의 고용주(84%)가 IT 부서가 AI의 최대 수혜자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, 비즈니스 운영(83%), R&D(81%), 금융(78%), 법률(78%), 영업 및 마케팅(77%) 및 인사(71%) 직무 역시 AI로 인한 혜택을 받으리라 예상하고 있습니다. 또한, 고용주의 51%는 업무 자동화가 AI 도입의 최 대 수혜가 될 것으로 답변했습니다. 조사 결과, 대한민국 고용주의 88%와 근로자의 84%가 향후 5년 이내에 조직 내에서 생성형 AI를 사용할 것을 기대하는 모습을 보이며 생성형 AI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내비쳤습니다. 빠르게 발전하는 생성형 AI 기술은 '기술 전문가'의 34%, '기술 인접형' 근로자의 23% 및 '비기술자' 근로자의 17%가 사용할 것이라고 답하며 모든 수준의 기술 지식을 갖춘 근로자가 사용할 것으로 전 망됩니다. 한국의 고용주들은 AI 활용 능력을 보유한 직원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, 이들을 고용하기 위해 최소 18%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반면, 직원들의 68%는 경력 발전을 위해 AI 활용 능력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강한 열망을 표출했습니다. AI 활용 능력을 습득하려는 가장 큰 동기는 업무 효율성, 업무 만족도 향상 및 지적 호기심을 포함했습니다. 주목할 만한 통계 결과로는 여성 응답자의 64%와 베이비붐 세대의 77%가 경력 발전을 위해 AI 활용 능력을 함양하는 데 큰 관심을 보였다는 것입니다.

Articles in this issue

view archives of Enterprise South Korea content - INFOGRAPHIC_KR